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는 1986년 현대중공업 농구단으로 창단하여, 현대산업개발을 거쳐 2004년 신한은행에 인수된 여자 프로 농구단이다. 2004년 안산으로 연고지를 이전한 후 2014년 인천으로 이전했다. 임달식 감독 체제에서 2007-2008 시즌부터 2011-2012 시즌까지 6시즌 연속 통합 우승을 달성하며 WKBL 역사상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웠다. WKBL 챔피언 결정전에서 총 8번, 정규 시즌에서 6번 우승했으며, 전주원의 영구 결번을 지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 여자 농구 연맹 팀 - 부천 하나은행
부천 하나은행은 1997년 창단되어 부천을 연고지로 하는 대한민국의 여자 프로농구단으로, 하나금융그룹에 인수된 후 팀명을 변경하며 운영되고 있으며, WKBL 챔피언결정전에서 4회 우승을 차지하는 등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으나 국적 위조 사건으로 징계를 받기도 했다. - 한국 여자 농구 연맹 팀 -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는 1977년에 창단되어 WKBL에 소속된 여자 프로 농구단으로, WKBL 챔피언 결정전 6회, 정규 리그 6회 우승을 기록했으며 박정은과 이미선을 영구 결번으로 지정하고 하상윤 감독이 이끌며 홈 경기장은 용인실내체육관이다. - 신한금융지주 - 신한은행
1982년 재일한국인 자본으로 설립된 신한은행은 조흥은행 합병을 통해 국내 2위 은행으로 성장, 신한금융지주 자회사로서 국내외 영업망을 갖추고 디지털 금융 혁신을 추진 중이나, 금융사고, 사회적 논란, 보안 문제, 부실채권 증가 가능성 등 투명하고 책임감 있는 경영이 요구된다. - 신한금융지주 - 제주은행
제주은행은 1969년 설립되어 1972년 상장된 대한민국의 지방은행으로, 비자카드를 취급하며 후불교통카드 기능을 제공하고 2002년 신한금융지주 계열사로 편입, 2022년 본점을 이전했다. - 1986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는 1997년 창단되어 KBL에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한 명문 구단이다. - 1986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 - 대한항공 점보스
대한항공 점보스는 1969년 창단되어 V-리그에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프로 배구단으로, 2017-18시즌 첫 우승 이후 V-리그 5회 우승, KOVO컵 5회 우승을 기록하였으며 현재는 토미 틸리카이넨 감독이 이끌고 인천 계양체육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리그 | WKBL |
창단 | 1986년 |
해체 | 해당 없음 |
역사 | 현대중공업 여자 농구단 (1986-1990) 현대산업개발 여자 농구단 (1990-1998) 청주 현대 하이페리온 (1998-2004) 안산 신한은행 에스버드 (2004-2014)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2014-현재) |
홈 경기장 | 도원체육관 |
수용 인원 | 3,300석 |
연고지 | 인천광역시 |
구단주 | 서진원 (Seo Jin-won) |
단장 | 해당 없음 |
감독 | 구나단 (Gu Na-dan) |
주장 | 해당 없음 |
모기업 | 신한은행 |
웹사이트 | 신한은행 에스버드 공식 웹사이트 |
우승 기록 | |
리그 우승 | 8회 (WKBL) |
한국 리그 | 8회 (WKBL) |
영구 결번 | |
영구 결번 선수 | 전주원 |
2. 연혁
1986년 전신 현대중공업 농구단으로 창단하였다. 1990년 현대산업개발로 이적하였으며, 같은 해 농구대잔치 2차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1994년에는 1993-1994 농구대잔치 실업조에서 우승하였다. 1997년 치악배 여자실업, 금융 농구대잔치에서 우승하였고, 1998년 현대건설로 이적하였다. 1999년 한빛은행배 1999 여자 프로농구 여름리그에서 준우승, 2000년 BUY KOREA 2000 여자프로농구 겨울리그에서 준우승하였다. 2002년에는 프로농구 정규 리그 1차, 2차 우승 및 챔피언 결정전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통합 우승을 달성하였다.
2004년 6월, 신한은행은 농구단을 인수하고 연고지를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경기도 안산시로 이전하였다. 같은 해 10월 29일, 안산 신한은행 에스버드 여자농구단이 창단되었다. 2005년 9월 19일, 2005 여름 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하였고, 2007년 4월 5일에는 2007 겨울 리그 통합 우승을 달성하며 첫 통합 우승을 기록했다.
2007년 8월 21일, 임달식 감독이 선임되면서 팀은 전성기를 맞이하게 된다. 임달식 감독의 지휘 아래 신한은행은 2007-2008 시즌부터 2011-2012 시즌까지 6시즌 연속 통합 우승이라는 WKBL 역사상 전무후무한 대기록을 달성하였다. 2008년 3월 23일 2007-2008 시즌, 2009년 3월 22일 2008-2009 시즌, 2010년 4월 6일 2009-2010 시즌, 2011년 4월 1일 2010-2011 시즌, 그리고 2012년 3월 30일 2011-2012 시즌까지 정규리그와 챔피언 결정전에서 모두 우승하며 명실상부 WKBL 최강팀으로 자리매김했다.
2014년 4월 10일, 인천광역시로 연고지를 이전하였다. 같은 해 5월 1일에는 정인교 감독이 선임되었다. 2016년 3월 25일에는 신기성 감독이, 2019년 4월에는 정상일 감독이 선임되었다.
연고지 이전 후, 2014-2015 시즌 정규리그 2위를 기록하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청주 KB 스타즈에 2패하며 최종 3위를 기록했다. 2017-2018 시즌에도 정규리그 3위를 기록, 플레이오프에서 청주 KB 스타즈에 1승 2패로 최종 3위에 머물렀다. 2019-2020 시즌에는 정규리그 4위를 기록했고, 2020-2021 시즌에는 정규리그 3위로 4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2. 1. 창단 및 초기 역사 (1986-2004)
1986년 전신 현대중공업 농구단으로 창단하였다. 1990년 현대산업개발로 이적하였으며, 같은 해 농구대잔치 2차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1994년에는 1993-1994 농구대잔치 실업조에서 우승하였다. 1997년 치악배 여자실업, 금융 농구대잔치에서 우승하였고, 1998년 현대건설로 이적하였다. 1999년 한빛은행배 1999 여자 프로농구 여름리그에서 준우승, 2000년 BUY KOREA 2000 여자프로농구 겨울리그에서 준우승하였다. 2002년에는 프로농구 정규 리그 1차, 2차 우승 및 챔피언 결정전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통합 우승을 달성하였다.2. 2. 신한은행 인수 및 전성기 (2004-2012)
2004년 6월, 신한은행은 농구단을 인수하고 연고지를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경기도 안산시로 이전하였다. 같은 해 10월 29일, 안산 신한은행 에스버드 여자농구단이 창단되었다. 2005년 9월 19일, 2005 여름 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하였고, 2007년 4월 5일에는 2007 겨울 리그 통합 우승을 달성하며 첫 통합 우승을 기록했다.2007년 8월 21일, 임달식 감독이 선임되면서 팀은 전성기를 맞이하게 된다. 임달식 감독의 지휘 아래 신한은행은 2007-2008 시즌부터 2011-2012 시즌까지 6시즌 연속 통합 우승이라는 WKBL 역사상 전무후무한 대기록을 달성하였다. 2008년 3월 23일 2007-2008 시즌, 2009년 3월 22일 2008-2009 시즌, 2010년 4월 6일 2009-2010 시즌, 2011년 4월 1일 2010-2011 시즌, 그리고 2012년 3월 30일 2011-2012 시즌까지 정규리그와 챔피언 결정전에서 모두 우승하며 명실상부 WKBL 최강팀으로 자리매김했다.
2. 3. 연고지 이전 및 현재 (2014-현재)
2014년 4월 10일, 인천광역시로 연고지를 이전하였다. 같은 해 5월 1일에는 정인교 감독이 선임되었다. 2016년 3월 25일에는 신기성 감독이, 2019년 4월에는 정상일 감독이 선임되었다.연고지 이전 후, 2014-2015 시즌 정규리그 2위를 기록하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청주 KB 스타즈에 2패하며 최종 3위를 기록했다. 2017-2018 시즌에도 정규리그 3위를 기록, 플레이오프에서 청주 KB 스타즈에 1승 2패로 최종 3위에 머물렀다. 2019-2020 시즌에는 정규리그 4위를 기록했고, 2020-2021 시즌에는 정규리그 3위로 4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3. 역대 감독
wikitext
순번 | 재임 기간 | 이름 |
---|---|---|
1대 | 2003 - 2007 | 이영주 |
2대 | 2007.8.21 - 2014.4.10 | 임달식 |
3대 | 2014.5.1 - 2016.1.12 | 정인교 |
대행 | 2016.1.12 - 2016.3.7 | 전형수 |
4대 | 2016.3.25 - 2019.3.11 | 신기성 |
5대 | 2019.3.11 - 2019.3.15 | 박성배 |
6대 | 2019.4.3 - 2021.7.26 | 정상일 |
대행 | 2021.7.26 - 2022.2.22 | 구나단 |
7대 | 2022.2.22 - 2024.11.7 | 구나단 |
대행 | 2024.11.7 - | 이시준 |
임달식 감독은 팀의 전성기를 이끈 명장으로, 6시즌 연속 통합 우승이라는 전무후무한 대기록을 달성했다.
3. 1. 감독 목록
순번 | 재임 기간 | 이름 |
---|---|---|
1대 | 2003 - 2007 | 이영주 |
2대 | 2007.8.21 - 2014.4.10 | 임달식 |
3대 | 2014.5.1 - 2016.1.12 | 정인교 |
대행 | 2016.1.12 - 2016.3.7 | 전형수 |
4대 | 2016.3.25 - 2019.3.11 | 신기성 |
5대 | 2019.3.11 - 2019.3.15 | 박성배 |
6대 | 2019.4.3 - 2021.7.26 | 정상일 |
대행 | 2021.7.26 - 2022.2.22 | 구나단 |
7대 | 2022.2.22 - 2024.11.7 | |
대행 | 2024.11.7 - | 이시준 |
임달식 감독은 팀의 전성기를 이끈 감독으로, 6시즌 연속 통합 우승을 달성했다.
4. 시즌별 기록
챔피언결정전 패배 (신세계) 2-0
챔피언결정전 패배 (신세계) 3-2
챔피언결정전 승리 (삼성생명) 3-1
챔피언결정전 승리 (우리은행) 3-0
챔피언결정전 패배 (우리은행) 3-1
챔피언결정전 승리 (삼성생명) 3-2
챔피언결정전 승리 (삼성생명) 3-0
챔피언결정전 승리 (삼성생명) 3-0
챔피언결정전 승리 (삼성생명) 3-1
챔피언결정전 승리 (KDB생명) 3-0
챔피언결정전 승리 (KB) 3-0
챔피언결정전 패배 (우리은행) 3-1